Ongoing 번역 중.../뉴스 기사 번역

[The New York Times 영어 기사 번역](사회) Korean Political Star Falls as #MeToo Campaign Grows(미투 운동으로 한국 차기 대권 주자 몰락)

한송이 안개꽃 2018. 3. 8. 17:43

 

차기 대선 주자의 몰락에 관해 Newyork Times에 실린 기사입니다. 평소 신문 기사에서 볼 수 있는 용어가 영어로 어떻게 표현되는지 참고할 수 있습니다.

 

 

Korean Political Star Falls as #Me Too Campaign Grows  

미투 운동으로 한국 차기 대권 주자 몰락

 

글: 최상훈 번역: 박상민


SEOUL, South Korea — A rising political star and presidential hopeful stepped down as a provincial governor on Tuesday, becoming the most prominent South Korean accused of misdeeds by a growing #MeToo movement in this male-dominant society.


The politician, Ahn Hee-jung, governor of South Chungcheong Province, announced his resignation and retirement from public life in a Facebook post early Tuesday, hours after one of his secretaries, Kim Ji-eun, claimed in public that Mr. Ahn had raped her four times since last June.


Mr. Ahn called Ms. Kim into his office on the night of Feb. 25, looking uneasy, she said in an interview broadcast on the local cable  channel JTBC on Monday. He apologetically said that while following the development of the #MeToo movement rocking South Korea, he realized that he must have hurt her, according to Ms. Kim.


"But he again did it that night," she said, fighting back tears.
 
Ms. Kim said she knew there were other victims, and she hoped that her interview would encourage them to speak out, too.


Mr. Ahn's office initially denied the rape accusations, saying that Mr. Ahn had consensual sex with Ms. Kim. But as Ms. Kim's allegations spread on social media and the local news media devoted much attention to them, Mr. Ahn retracted his office's statement and apologized.
 
"It's all my fault," Mr. Ahn said in the Facebook post. "I want to tell Ms. Kim Ji-eun that I am really sorry. I am asking for forgiveness for my foolish behavior."
 
The  #MeToo movement had been slow to catch on in South Korea until a prosecutor, Seo Ji-hyeon, asserted on television in January that one of her former bosses had groped her at a funeral in 2010. Ms. Seo's accusation revealed that even prosecutors, one of the most powerful elite groups in South Korea, could be subject to sexual abuse.
 
Ms. Seo's decision to become a whistle-blower was considered particularly brave because prosecutors are widely believed to work in one of the most strictly hierarchical organizations in South Korea. Since then, a steady stream of women have come forward with similar accusations, mainly publicized on social media. A number of prominent men, including theater directors, prosecutors, professors and Catholic priests, have apologized for sexual misconduct and resigned from their positions.
 
Still, most of those men worked in the film, theater and entertainment sectors, leaving the corporate and political elites of the country largely untouched by the #MeToo movement. Mr. Ahn is the first major politician to fall.


His downfall was particularly disturbing to many South Korean.
 
Mr. Ahn, 52, is one of a generation of politicians who have built successful careers based on backgrounds as student leaders who fought for democracy under the military dictatorship in the 1980s. They have billed themselves as holding a higher moral ground than their conservative counterparts, many of whom were connected to the dictatorship.
Mr. Ahn has been a star among them. He lost the Democratic Party primary to Moon Jae-in, who is now the president, last April. He had been widely cited as one of the leading candidates to replace Mr. Moon when his five-year term ends in 2022.
Mr. Moon's governing Democratic Party, which faces important elections for mayors and governors in June, moved quickly to control the damage. Its leadership apologized for Mr. Ahn's actions and began the process to expel him from the party.
Men still dominate the top echelons of sociey in South Korea, enforcing a strictly hierarchical code that analysts say makes women vulnerable to abuse and bias. The World Economic Forum ranks the country 118th of 144 in terms of gender equality.
Many South Koreans still work in a "feudal" command-and-compliance work culture where "those who seize power get to believe that they can do whatever they want to," the mass-circulation newspaper JoongAng Ilbo said in an editorial last month on the causes of sexual abuse in South Korea.
At a forum in Seoul last month, Shin Hee-joo, a female movie director and campaigner against sexual violence, said there was a "rape culture" in South Korea. Other feminist activists told the same forum that although victims had gathered in groups and spoken out for years, they drew little attention and were often subjected to defamation lawsuits and ostracized at work.
After weeks of silence, Mr. Moon joined the #MeToo movement last month.
 
"This is a problem that has been festering so long it could have burst open any time," he said, urging legal authorities to open criminal investigations into the growing number of sexual abuse cases. "I applaud those who had the courage to tell their stories."
 
But he also said South Korea "cannot solve this through laws alone and needs to change our culture and attitude."
Ms. Shin, however, questioned Mr. Moon's sincerity, noting that the president retained one of his aides despite allegations of sexual misconduct. Mr. Moon's office has said the accusations were not serious enough to fire the aide.  
인기 있는 정치인이자 주목받는 차기 대선 주자가 6일 도지사직을 사임했다. 이로써 남성 위주의 한국 사회에서 확산되고 있는 미투 운동으로 성폭행 혐의를 받고 있는 한국의 가장 저명한 인사가 된 것이다.


안희정 전 충남 도지사는 6일 오전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도지사직을 사임하고 정치 활동을 중단하겠다고 발표했다. 그의 발표는 안 전 지사의 수행 비서 중 한 명이 지난 6월부터 자신을 네 차례 성폭행했다고 주장한 지 몇 시간 후에 나왔다.


5일 케이블 방송인 JTBC에서 인터뷰를 통해 해당 비서는 안 전 지사가 2월 25일 밤 자신을 집무실로 불렀다고 한다. 당시 그는 불편한 기색을 띠며 말하길 '한국 사회에 불어닥친 미투 운동을 지켜보며 김 씨에게 상처를 준 것에 미안하다'고 했다.


"하지만 그날도 지사님은 그러셨어요."라고 김 씨는 울음을 삼기며 말했다.


김 씨는 자신 말고 또 다른 피해자가 있다고 말하며 자신의 인터뷰가 그분들에게 용기를 주었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안 전 지사 측은 초기에는 성폭행 사실을 부인하며 상대방과 합의된 관계였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김 씨의 주장이 SNS에서 삽시간에 퍼지고 언론에서 이 두 사람에 대한 기사를 쏟아내자 안 전 지사가 비서실의 발표을 번복했고 사과문을 발표했다.


안 전 지사는 페이스북에 남긴 글을 통해, "모두 다 제 잘못입니다. 무엇보다 저로 인해 고통을 받았을 김지은 씨에게 정말 죄송합니다. 저의 어리석은 행동에 대해 용서를 구합니다."라고 말했다.


미투 운동은 한국 사회에서 뒤늦게 주목받았다. 하지만 현직에 있는 한 여검사(서지현 씨)가 1월 텔레비전 인터뷰를 통해 전 직장 상사가 2010년 장례식장에서 자신의 몸을 더듬었다고 주장한 것이 주요 시발점이 되었다. 서 검사의 폭로를 통해 한국 사회에서 가장 힘 있는 엘리트 집단인 검찰에서조차 여성을 상대로 성폭력이 존재한다는 사실이 드러난 것이다.


검찰 조직이 한국에서 위계질서가 엄격한 조직이라는 점에서 내부 고발자가 되기로 결심한 서 검사의 행동은 상당히 용기 있는 결단으로 받아들여졌다. 서 검사의 폭로가 있었던 이후로 꾸준히 많은 여성이 주로 SNS를 통해 유사한 성폭력 사례를 고발하고 있다. 성폭력 당사자로 지목된 이들은 연극연출가, 검사, 교수 및 가톨릭 사제 등 사회 각 층에 영향력 있는 인물들이었다. 이들은 자신들의 성폭력에 대해 사과하고 직책에서 물러났다.


가해자의 대다수는 영화, 연극 및 연예계에 종사하는 인물이었지만, 정·재계 인사는 미투 운동에서 아직 거론되지 않았었다. 하지만 이번 사건으로 안 전 지사가 미투 운동으로 추락하는 첫 주요 정치인이 된 셈이다.


그의 몰락은 많은 한국인에게 충격을 주었다.


안 전 지사(52)는 1980년대 군사 독재에 맞서고 민주주의를 위해 싸운 학생 운동권 출신으로 성공적인 정치 경력을 쌓은 인물이다. 이러한 정치 세대는 반대파인 보수 정당의 다수 정치인이 독재 정권과 결탁했었기 때문에 자신들이 도덕적으로 우위에 있다고 자부해온 터였다


안 전 지사는 이러한 진보 정치 세력 중 가장 주목받는 인물 중의 하나였다. 그는 작년 4월에 당선된 문재인 대통령이 속해 있는 더불어민주당에서 출당 및 제명조치되었다. 얼마 전까지만 하더라도 문재인 정권이 마무리되는 2022년에 문재인 대통령을 대신하는 유력한 차기 대선 주자로 물망에 올랐었다.


집권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6월에 시장과 도지사를 뽑는 지방선거를 앞둔 상황이어서 이 성폭행 사건에 발 빠른 조처를 했다. 당 대표는 사과했고 안 전 지사에 대해 출당 및 제명조처를 밟기로 했다.


한국 사회에서 남자는 여전히 사회 주요 층에 자리를 잡고 있다. 이러한 사회 구조로 인해 여성들이 성폭력이나 차별에 더욱 취약할 수밖에 없는 위계질서가 강화된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세계경제포럼(WEF)의 성 평등 지수에서 한국은 144개국 중에 118위다.


한국에선 많은 사람이 "봉건시대"에서나 있을 법한 명령과 복종의 직장 문화 속에서 살고 있다. 중앙일보의 지난달 사설에선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의 폐해를 한국의 성폭력 사태의 원인으로 분석한 글("권력을 잡은 사람은 자신이 원하는 것은 무엇이든 할 수 있다고 믿는다")이 실렸다.


지난달 서울에서 열린 한 포럼에서 한 여성 영화감독이자 성폭력 근절을 위한 사회 운동가(신희주)는 한국에 성폭행 문화가 자리 잡고 있다고 언급했다. 다른 여성 운동가들도 이 포럼에서, 피해자들이 단체로 수년간 성폭력 피해 사실을 폭로했지만, 주변의 관심은 싸늘했고 오히려 명예훼손으로 고소당하거나 직장에서 따돌림을 당하기 일쑤였다고 전했다.


몇 주간 언급이없었던 문재인 대통령은 미투 운동에 관해 지난 달 말을 꺼냈다.


"곪을 대로 곪아 언젠가는 터져 나올 수밖에 없었던 문제가 이 시기에 터져 나온 것으로 생각합니다. 피해 사실을 폭로한 분들의 용기에 경의를 표하며, 미투 운동을 적극 지지합니다."라고 문 대통령은 말했다. 그러면서 사법당국이 증가하는 성폭력 사건에 적극적으로 수사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는 또한, "법만으로 해결할 수 없고, 문화와 의식이 바뀌어야 하는 문제이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신희주 영화감독은 대통령 측근 보좌관 중에 성적으로 부적절한 언행을 한 인물을 거론하며 대통령의 진정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 청와대는 해당 폭로가 보좌관을 면직해야 할 만큼 심각한 사안이 아니라고 발표했다.
presidential hopeful: 대선 주자


step down as~: 직위에서 내려오다. 사임하다.(=resign) 
 
male-dominant society: 남성 위주 사회
















look uneasy: 불편한 기색을 띠다


rock South Korea: 한국 사회를 뒤흔들다


following the development of ~: ~ 추세나 진행 상황을 지켜보다




fight back tears: 눈물을 참다/ 울음을 삼키다


speak out: 폭로하다








allegation: 폭로, 주장


retract his office's statement: 비서실의 발표를 번복하다






















slow to catch on in~: ~에서 뒤늦게 유행하다/ 뒤늦게 주목받다


accusation: 폭로
reveal: 드러내다
 
be subject to sexual abuse: 성폭력의 대상이 되다






be considered brave: 용기로 받아들여지다


strictly hierarchical organization: 위계질서가 엄격한 조직


a steady stream of women: a number of women(많은 수의 여성)의 뜻을 가지고 있으면서, '꾸준히(steady) 연속적으로(steam) 많은 여성들이'라는 뜻을 가짐


disturbing to~: ~가 충격에 휩싸이게 하다




still: 문장 부사는 문맥의 논리 흐름을 이해하는데 중요합니다. 여기서는 '그럼에도 불구하고'의 의미










disturbing: 충격을 주다/ 혼란을 주다






They have billed themselves as~: 자기 자신을 ~로 알리다/ 홍보하다/~로 여기다/자기 자신을 ~로 자부하다
 
 
조사 '의'와 '-에'는 잘 가려 써야 합니다. 특히 조사'-의'는 발음을 [-에]로 할 수 있어 여러 사람이 자주 틀리게 씁니다. '-의'는 소유의 뜻이며, '-에'는 장소를 뜻합니다.
 
~ primary to~: ~이(가) ~에 속해있다/ ~에 정치적 기반을 두고 있다
 
had been widely cited as one of the leading candidates~: 차기 대선 주자로 물망에 올랐었다/ 대선 주자로 불리었다 
 
had been의 의미를 같은 단락에 있는 서술어(has been, lost)보다 시간적으로 이후에 일이므로 '얼마 전까지만 하더라도'라는 말을 추가해서 사건의 시간 순서를 명확하게 했습니다.


















enforce a strictly hierarchical code: 윅계질서가 강화되다










feudal: 봉건시대의
command-and-compliance work culture: 명령과 복종의 직장 문화




















could have burst open any time: 언젠가는 터져 나올 수밖에 없던 문제 => 언제든지 터져 나왔을 문제이다


open~into~: 시작해서 ~하게하다


applaud: 적극지지하다


office: 측에서는, 측근(여기서는 청와대)

 

 

 

 

원문 출처:  https://www.nytimes.com/2018/03/05/world/asia/me-too-south-korea-ahn-hee-jung.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