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Ongoing 번역 중.../뉴스 기사 번역

[NPR 영어 기사번역] North Korea's Kim Jong Un Says He Will Visit Seoul(북한 김 위원장, 서울 방문 약속)

by 한송이 안개꽃 2021. 7. 16.

3차 남북 정상회담이 열렸습니다. 많은 기사가 지금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영어 원문은 미국 공영방송 NPR에 실린 글입니다.

 

 

번역 진행 순서
1. 소리 내어 영어 원문 3회 읽기 => 2. 대략적인 의미 파악 => 3. 핵심 단어(Keyword) 중심으로 검색 => 4. 배경 지식 습득 => 5. 소리 내어 영어 원문 1회 더 읽기 => 6. 초벌 번역 시작(의미 중심으로) => 7. 마무리 번역(정확성 중심으로) => 8. 맞춤법 검사 => 9. 소리 내어 번역문 읽기(가독성 중심으로) =>
10. 제목 번역 => 11. 글다듬기 및 마무리

 


North Korea's Kim Jong Un Says He Will Visit Seoul

북한 김 위원장, 서울 방문 약속

문재인 대통령(왼쪽)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19일 평양 백화원 영빈관에서 공동선언서에 사인한 후 악수하고 있다. (출처: 평양기자단/AP 통신)

 

 

 

North Korean leader Kim Jong Un says he will visit Seoul "in the near future," amid an ongoing summit with South Korea's Moon Jae-in in which he also renewed pledges to shut down a primary missile launch site and a key nuclear weapons complex if the U.S. takes "corresponding" measures.

북한 김정은 위원장이 "가까운 시일 안에" 서울을 방문하겠다고 문재인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약속했다. 김 위원장은 이번 회담에서 주요 미사일 발사대와 핵시설을 폐기하겠다고 재차 약속했으며 그 조건으로 미국이 "그에 상응하는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Kim's remarks about traveling to Seoul were made during a news conference in Pyongyang with the South Korean president. It would be the first-ever visit to the South Korean capital by a North Korean head of state.

김 위원장의 서울 방문 언급은 평양에서 열린 공동 기자 회견에서 나왔다. 실제로 방문이 이루어진다면 북한 지도자로는 처음으로 한국을 방문하는 셈이다.

 

In their third summit, Kim and Moon also laid out plans to draw down forces along their heavily fortified border and announced an agreement for their athletes to compete as a single team at the 2020 Olympics in Tokyo and to submit a joint bid to host the games in 2032.

3차 정상 회담에서 두 정상은 군사 분계선의 병력을 축소하기로 했다. 또한 2020년 도쿄 올림픽 단일팀 출전과 2032년 하계 올림픽 공동개최를 합의했다.

 

In addition, the two leaders agreed that before the end of the year, they would participate in groundbreaking ceremonies to link railways along the east and west coasts of the Korean peninsula.

게다가 두 정상은 올해가 가기 전에 한반도의 동해와 서해를 따라 철도를 연결하기 위한 기념비적인 행사에 참석하기로 합의했다.

 

Moon said that the two sides agreed that the Koreas should become a "land of peace without nuclear weapons and nuclear threats," Kim called the agreement "a leap forward" toward peace between the two historically bitter rivals.

문 대통령은 남북이 "핵무기와 핵 위협 없는 한반도"를 만들기로 합의했다고 전했다. 김 위원장은 이번 합의가 오랫동안 적대적이었던 양국이 평화를 위해 "도약"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했다.

 

In it, defense chiefs from Pyongyang and Seoul said they would establish "buffer zones" between their land and maritime borders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accidental military clashes. They also agreed to withdraw 11 guard posts from the Demilitarized Zone along the 38th parallel that acts as the de facto border between the two sides, who remain technically at war more than six decades after the Korean conflict ended without a peace treaty.

이 합의와 관련해서 양국 국방부 책임자는 우발적인 군사 충돌을 줄이기 위해 한반도 영토와 영해에 "완충지대"를 만들기로 했다. 또한 군사경계선인 38선을 따라 비무장 지대에 있는 11개의 초소를 철수하기로 합의했다. 사실상 양국은 평화 조약 없이 무력 충돌이 끝난 후에 60년 이상 휴전 상태에 있다.

 

North Korea would also shut down its Dongchang-ri missile engine testing and launch facility and allow the process to be monitored by international observers.

북한은 동창리 미사일 시험기지와 발사대를 폐쇄할 것이며 국제사회의 핵사찰을 수용하겠다는 내용을 발표했다.

 

The North promised to dismantle its Yongbyon nuclear weapons facility as far back as 2007 and the significance of shuttering the two facilities is not clear. The North has demonstrated a capability for using mobile launchers to fire its ballistic missiles and some observers believe Pyongyang maintains secret nuclear facilities in addition to Yongbyon.

북한은 이미 2007년에 영변 핵시설을 폐기하기로 약속한 바 있다. 이 두 시설을 폐쇄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어떤 의미인지는 명확하지 않다. 북한이 이동식 발사대를 이용해 탄도 미사일 발사 능력을 공개한 바 있어 일각에선 북한이 영변 이외에 비밀 핵시설을 보유하고 있다고 본다.

 

Although it was not clear what "corresponding" U.S. steps North Korea expected as a condition to make good on the promise to shut down Yongbyon, President Trump, in a tweet just after midnight, appeared to deem the summit a success, calling it "Very exciting!"

영변 핵시설 폐쇄에 대한 대가로 북한이 기대하는 미국의 "상응하는 조치"가 있을지 확실하지 않지만, 미국의 트럼프 대통령은 자정이 지나 트윗을 통해 이번 정상 회담이 성공적이라 평가하며 "매우 기쁘다"라는 말을 남겼다.

 

Even so, lasting rapprochement between the two Koreas proved elusive in the past, with hopes for peace degenerating into renewed recriminations and saber rattling following two previous summits in 2000 and 2007.

지금까지 양국의 관계 개선을 전망하기 어려웠다. 2000년과 2007년 두 차례 정상회담이 있었지만, 평화에 대한 바람은 전쟁을 운운하는 설전과 무력 도발로 악화되기 일쑤였다.

 

Although Trump has remained optimistic about improved relations between Washington and Pyongyang, the initial euphoria following the Singapore summit in June -- after which the president declared that North Korea was "no longer a nuclear threat" -- quickly wore off. Follow-up meetings between Secretary of State Mike Pompeo and North Korean officials failed to produce concrete results, and Pyongyang quickly returned to its bombastic anti-American rhetoric.

트럼프 대통령은 북미 관계 개선에 여전히 긍정적인 입장이지만, 6월 싱가포르 회담 후에 북한은 "더 이상 핵 위협국"이 아니라고 선언했음에도 불구하고 초기에 긍정적인 분위기는 순식간에 사라졌다. 마이클 폼페이오 국무부 장관과 북한 관계자 간에 후속 회담에서 이렇다 할 성과를 내지 못하자 북한은 이전에 미국에 대한 적대적인 발언을 반복한 바 있다.

 

As The Associated Press notes of the agreement, "... while containing several tantalizing offers, it appears to fall short of the major steps many in Washington had been looking for -- such as a commitment by Pyongyang to provide a list of the North's nuclear facilities, a solid step-by-step timeline or an agreement to allow international inspectors in to assess progress or discover violations."

AP 통신은 이번 회담을 다음과 같이 평가했다. "... 몇몇 구미가 당기는 제안이 있지만, 미국 정가가 원하는 주요한 결정은 부족해 보인다. 예를 들어 북한이 제공하는 핵시설 리스트, 단계적이고 실질적인 비핵화 시간표 혹은 국제사회 참관하에 이루어지는 검증..."

 

Moon on Wednesday acknowledged, "there will be challenges and trials, but the more we overcome them the stronger we will become."

문 대통령은 19일 기자 회견에서 "앞으로 많은 도전 과제와 어려움이 있겠지만, 극복한다면 우리는 더 강해질 것이다"라고 말했다.

 

"We are not afraid of future challenges," he said.

"우리는 그 어떤 역풍도 두렵지 않다."

 

Harry Kazianis, director of defense studies at the Center for the National Interest in Washington, tells NPR that keeping the lines of communication open between North and South is paramount.

미 국가이익센터(CFTNI) 해리 카지아니스(Harry Kazianis) 국방연구국장은 NPR과의 인터뷰에서 남북 간 대화 통로를 계속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If we are going to have chance in the Korean Peninsula, if we're going to have a war, you need to have more sort of political framework where all sides will keep talking," Kazianis says.

"한반도가 평화의 길로 갈지 혹은 전쟁으로 치달을지에 상관없이 모든 당사국이 대화를 유지할 정치적 통로는 다방면으로 갖추고 있어야 한다.

 

In a reference to some of Trump's harshest threats against the North before tensions finally eased, Kazianis says as long as dialogue continues, "If there are rough patches, if there are problems, we can talk our way through and not go back to fire and fury."

북미 간 긴장이 절정으로 치닫던 시기에 트럼프의 대북 강경 발언에 대해 그는 "대화가 계속되는 한 다소 갈등과 어려움이 있더라도 "화염과 분노"로 복귀하지 않고 외교적인 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고 했다.

 

 


 

 

원문 출처
https://www.npr.org/2018/09/19/649413468/north-koreas-kim-jong-un-says-he-will-visit-seoul
참고 자료 출처(문재인 대통령 모두 발언)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091903097

 

 

'9월 평양공동선언' 기자회견 전문…문 대통령·김정은 "전쟁 없는 한반도 시작"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2일차 평양 정상회담 결과를 담은 '9월 평양공동

news.hankyung.com

North Korea's Kim Jong Un Says He Will Visit Seoul

During a third summit between Kim Jong Un and South Korea's Moon Jae-in, Pyongyang also agrees to dismantle missile and nuclear weapons sites if the U.S. takes "corresponding" measures.

www.npr.org


 

 

번역 연습 프로세스
1. 소리 내어 영어 원문 3회 읽기 => 2. 대략적인 의미 파악 => 3. 핵심 단어(Keyword) 중심으로 검색 => 4. 배경 지식 습득 => 5.소리 내어 영어 원문 1회 더 읽기 => 6. 초벌 번역 시작(의미 중심으로) => 7. 마무리 번역(정확성 중심으로) => 8. 맞춤법 검사 => 9. 소리 내어 번역문 읽기(가독성 중심으로) =>
10. 글다듬기 및 마무리
통역 연습 프로세스
1. 오디오 자료 1회 듣기 => 2. 전체적인 의미 파악 => 3. 오디오 자료 1회 더 듣기 => 4. 노트테이킹(Note-taking) => 5. 1차 발표(통역) => 6. 발표 내용 녹음 및 확인 => 7. 오디오 자료 1회 듣기 => 8. 세부적인 의미 파악 => 9. 오디오 자료 1회 더 듣기 => 10. 노트테이킹(Note-taking) => 11. 2차
발표(통역) => 12. 발표 내용 녹음 및 확인 => 13. 텍스트 자료 확인
번역/통역 동시 연습 프로세스
1. 원문 소리 내어 읽기 1~3회 => 2. 소리 내어 읽은 시각 기록(00:00) => 3. 소리 내어 영한 번역 시작 => 4. 번역한 시각 기록(00:00) => 5. 원문 소리 내어 읽기 1~2회 => 6. 소리 내어 재번역 시작 => 7. 번역한 시각 기록(00:00) => 8. 프로세스 반복 => 9. 영어 암송 => 10. 암송한 시각 기록(00:00) => 11. 번역한 한국어 암송 => 12. 암송한 한국어 시각 기록(00:00) => 13. 프로세스 반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