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공영 라디오 방송(National Public Radio, NPR)에 실린 글입니다. '애완동물 판매 금지 법안'을 둘러싼 찬반의 입장과 사회적인 인식 변화를 중립적인 입장에서 다루고 있습니다. 애완동물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도 참고하실 만한 내용이네요.
영한 번역하기 전에...(영한 번역 프로세스) 바로가기 클릭=>
Fears Of A Black Market After Calif. Bans Some Commercial Breeding
캘리포니아주, 우려 속에서 '애완동물 판매 금지 법안' 채택
California is now the first state to ban pet stores from selling animals from commercial breeders, thanks to a new law signed by Gov. Jerry Brown in October. Animal advocates say it will reduce what they claim is the needless suffering of animals like puppies, kittens, and rabbits bred for sale. But critics say it will hurt pet store owners and force consumers to go underground.
상업 목적으로 사육한 애완동물을 펫 스토어에서 판매하지 못하도록 하는 법안이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처음 채택되었다. 제리 브라운 주지사가 10월 이번 법안을 승인한 것에 따른 조치이다. 동물 보호론자는 이번 법안으로 애완용으로 교배되는 강아지, 새끼 고양이 그리고 토끼와 같은 동물들이 불필요하게 고통받지 않게 될 것이라 반기고 있다. 하지만 일각에선 매장 주인이 타격을 입게 될 것이며 소비자는 음성적으로 애완동물을 구매하게 될 것이라며 우려를 표한다.
The law takes effect in January 2019.
이번 법안은 2019년 1월에 발효된다.
Pet industry and commercial breeders oppose the measure, as does the American Kennel Club. They say the law will make it more difficult for Californians to obtain dogs with the characteristics and traits they want, including breeds that are recommended for health considerations.
애완동물 업계와 사육업자 측에선 이번 법안에 반대한다. 미국 애견협회(American Kennel Club)는 이번 법안으로 캘리포니아에 거주하는 소비자가 자신의 기호에 맞는 품종이나 면역력이 강한 품종을 구하기가 어려울 것이라 주장한다.
However, individual breeders would still be able to sell to customers. The law applies only to retail pet stores like Puppy Heaven, a shop north of Los Angeles in Agoura Hills.
하지만 일반인이 개인적으로 교배한 품종은 여전히 다른 소비자에게 판매할 수 있다. 이번 법안은 아코라 힐즈의 로스앤젤레스 북부에 위치해 있는 퍼피 헤븐(Puppy Heaven)과 같은 소매업체에만 적용된다.
The store specializes in smaller dog breeds that have become increasingly popular in the last few years, like Yorkies, Maltese, Pomeranians, Maltipoos, and Morkies. These dogs can sell from $750 to $5,000, depending on the breed.
이 소매업체는 지난 몇 년간 소비자에게 인기가 있는 품종인 요크셔, 말티즈, 포메라니안, 말티푸, 몰키와 같이 작은 애완견 판매를 전문으로 한다. 이러한 애완견은 품종에 따라 750달러에서 5,000달러(약 80만~500만 원)에 판매된다.
Ben Ashel has owned Puppy Heaven for 14 years and says he uses only local and responsible breeders. He says the new law will only drive the huge consumer demand online, to unregulated breeders outside California.
퍼피 헤븐을 14년 동안 운영한 매장 주인 벤 애셜(Ben Ashel)은 현지에 있는 신뢰할 만한 사육업자만 상대한다고 말한다. 그에 따르면 이번 법안으로 캘리포니아주가 아닌 지역에서 규제를 받지 않는 사육업자에게 많은 소비자가 몰리게 될 것이며 특히 온라인 거래가 급증할 것이라 우려한다.
"This is something that is going to increase a thousand fold because of this law," Ashel says. "People will still want to get puppies."
"이 법안 때문에 강아지 온라인 판매가 급증할 거예요. 사람들은 여전히 귀엽고 작은 강아지를 좋아해요."라고 벤 애셜은 말한다.
But rescue organizations say there are plenty of puppies, kittens and dogs available for adoption. Animal advocates hope the new law will give animals a better chance at finding that permanent home.
이러한 업계 입장과 달리 동물구호단체는 강아지와 새끼 고양이를 포함하여 다수의 애완동물이 입양을 기다리고 있다고 목소리를 낸다. 동물보호단체는 이번에 새로운 법안 통과로 버려진 애완동물이 새로운 안식처를 찾을 수 있기를 바란다.
And some pet stores have adopted the model early. All of the animals in Los Angeles' colorfully named Bark n' Bitches pet store were rescued from shelters, rather than bought from breeders or "puppy mills" – commercial dog breeding facilities that many animal rights groups consider inhumane.
이러한 인도주의적 방식을 일찌감치 채택한 애완동물 매장도 있다. 로스앤젤레스에 있는 바크앤비치즈(Bark n' Bitches)에선 모든 애완동물을 동물보호 센터에서 데리고 온다. 이곳은 여러 동물보호단체가 비인간적이고 불법이라고 지적하는 강아지 공장(퍼피밀)이나 비인도적인 사육업자에게서 동물을 구매하지 않는다.
Ratana Lin is an employee at Bark n' Bitches, and it's her job to find customers their perfect match. She recommends Bugsy, a 40-pound white, tan and gray dog, who was rescued from an animal shelter. Store manager Jeana Alessio says they've done thousands of adoptions since 2009. The customers become like family, she says, while homeless dogs like Bugsy get a second chance.
바크앤비치즈에서 근무하는 라타나 린(Ratana Lin)은 고객에게 맞춤형 반려동물을 추천한다. 그녀는 동물보호소에서 데리고 온 18kg의 흰색과 회갈색이 섞인 벅시를 소개했다. 매장 관리자인 지나 알레시오(Jeana Alessio)는 2009년부터 수천 건의 입양이 이루어졌다고 말한다. 벅시와 같은 유기견과 새로운 주인을 연결해주면서 자연스레 고객이 가족처럼 느껴진다고 한다.
"We're a humane pet shop," Alessio says. "So we rescue dogs from the high-kill shelters. We get calls just about every other day."
"우리 매장은 동물의 권리를 중요하게 여겨요. 안락사 비율이 높은 동물 보호소에서 반려견을 데리고 오죠. 거의 하루 걸러 문의가 옵니다." 알레시오 씨의 말이다.
Stores like this one will soon be the model when California's new law goes into effect in 2019. It will require pet stores to only sell animals from shelters or rescue organizations.
이 매장은 이번 캘리포니아주의 새로운 법안이 2019년에 발효되면 조만간 주요 모범 사례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 법안의 핵심은 애견 매장이 동물 보호소나 구호 단체로부터 데리고 온 동물만 판매하도록 하는 것이다.
California Democratic Assemblyman Patrick O'Donnell, one of the bill's authors, says the new law will save animals' lives by "cutting off the puppy mill train from the mid-west to California."
이번 법안을 발의한 캘리포니아주의 패트릭 오도넬 민주당 의원은 이번 법안 발의로 애완동물의 생명을 구하게 되었다고 말한다. "중서부 지역에서 캘리포니아에 이르기까지 성행하고 있는 강아지 공장의 실태에 제동이 걸리게 되었습니다"
"It's just solid policy," O'Donnell says. "It will help us save animals' lives."
"만장일치로 통과된 법안입니다. 이 법안으로 애완동물의 생명을 구하게 될 겁니다." 오도넬 의원의 말이다.
Julie Bank, President and CEO of the Pasadena Humane Society, estimates that at least a quarter of the animals that come through the society's doors are purebred – meaning they were likely sold by a commercial breeder.
패서디나 동물학대방지협회(Pasadena Humane Society)의 대표이자 CEO인 줄리 뱅크(Julie Bank)씨는 이 협회에서 구조한 동물의 최소 1/4이 품종견이라고 한다. 이러한 애완동물은 상업적으로 교배되거나 불법적으로 판매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It's a pretty sad industry, a pretty abusive industry," she says. "The consumers out there need to know, most of the times you were buying an animal you were supporting this industry rather than supporting the lives of an animal which are breathing living creatures that need our help and support."
"업계의 현실이 너무 폭력적이고 참담합니다. 분양샵에서 동물을 구매하는 건 이러한 업계의 현실을 부추긴다는 걸 일반 소비자들이 유념해야 합니다. 사람의 도움과 지원이 필요한 살아있는 생명체를 보호하는 것이 아닙니다."라고 줄리 뱅크 씨는 말한다.
[번역가 칼럼] 애완 동물에서 '반려동물'로, 분양에서 '입양'으로
- 애완 동물에서 '반려동물'로, 분양에서 '입양'으로 - 자유기고가, 번역가 박상민 '트랜스퀘어'(TranSquare) 운영 "언어는 존재의 집이다." (하이데거), "나의 언어의 한계는 나의 세계의 한계이다."(
www.transquare.net
- 트랜스퀘어(TranSquare, 통번역광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