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객/실적 소개

[경기도미술관] 'DMZ Art Project' 전시 한영 번역 1

by 한송이 안개꽃 2021. 5. 12.

 


 

미술 분야 번역을 하면서 보람이득

번역 납품을 마치고 전시회에 참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전시회에 직접 찾아가서 활자화된 번역문을 다시 읽는 것은 성실하게 일한 사람의 보람이자, 문자로 생계를 이루어가는 사람의 살 떨리는 순간이기도 합니다. 다시 봤는데 오역했거나 실수했으면 어쩌나 하는 두려움도 있지요.

그래도 번역을 하며 전시회와 작품에 자연스레 관심을 가지게 되고, 쌓은 배경지식으로 인해 폭넓고 깊게 전시회 작품을 감상하게 됩니다.

전시회가 뜻 깊을수록 그 기쁨도 커집니다.

이번에 파주에서 <DMZ Art Project_ 다시, 평화>전이 열립니다.

DMZ 아트 프로젝트 포스터

분단은 우리에게 무뎌진 아픔입니다. 분단의 상처가 오랜 기간 방치되어 흉터로 남아있으며, 여러 차례 국가적인 노력이 있었지만, 아직 새살이 돋아나기에는 부족해 보입니다.

분단 이후 한 참 후에 태어난 사람일수록 이 상처에 무딘 게 사실입니다.

하지만, 예술은 이어한 무뎌진 것을 흔들고 두드려 깨우는 일이겠지요.

이번 전시회에서 그런 역할을 하는 예술가와 작품 소개 번역을 트랜스퀘어에서 하게 되었습니다.

아래에 작가 소개 원문과 번역문을 같이 올립니다.


<강익중>

강익중 작가

 

1994년 휘트니미술관에서 백남준과 멀티플/다이얼로그전을 열었고, 1997년 베니스 비엔날레에 한국대표로 참가하여 특별상을 수상한 바 있는 강익중 작가의 꿈은 남북을 잇는 <꿈의 다리> 프로젝트를 완성하는 것이다. 2016, 통일의 소망을 담은 실향민들의 그림을 모아 <집으로 가는 길>이라는 공공미술 작품을 런던 템즈 강에 띄움으로써 통일과 평화에 대한 그의 메시지를 전달하기도 했다. 1년 간 전시되는 이번 DMZ아트프로젝트의 작품은 그의 <꿈의 다리>가 실현될 그날, 평화와 공존이 실현되는 그날에 대한 소망을 담고 있다. In 1994, installation artist Ik-Joong Kang, together with the founder of video art Nam-June Paik, opened the Multiple/Dialogue exhibition at Whitney Museum of American Art. He was awarded the Special Merit Prize in the 47th Venice Biennale in 1997. Kang’s dream as an artist is to complete the public art project Bridge of Dream, which connects the North and the South. In 2016, Kang also conveyed his message of reunification and peace through floating public artworks on the River Thames in London. Titled “Floating Dreams, the installation was constructed from countless miniature drawings of people displaced and divided by the current state of division between the two Koreas. In this one-year exhibition, his artworks for the DMZ Art Project contained hope for the day when peace and coexistence would come true.

 


<백남준>

사진: 이정성

백남준은 미디어 아트의 개척자로서 다양한 테크놀로지를 이용하여 실험적이고 창의적으로 작업했던 예술가이다. <호랑이는 살아있다>는 새로운 밀레니엄을 맞이하여 세계 73개국 방송사가 공동 제작한 밀레니엄 프로젝트, ‘2000 Today’MBC가 소개한 한국을 대표하는 영상으로 전 세계에 송출되었다. 그는 전 지구적 평화와 공존, 통일에 대한 새 천년 한국인의 각오, 자신의 작가적 열망을 이 작품에 집약시켰다. 그가 직접 금강에 살어리랏다를 서투르게 부르는 퍼포먼스에서 통일을 염원하는 마음을 볼 수 있다. Nam-June Paik is considered to be the founder of video art. Paik experimented with many different creative processes and artistic media. Commissioned for broadcast on Korean television (MBC) as part of Korea’s Millennium celebration, Tiger Lives was broadcast around the world on the 2000 Today, which is a television special produced and televised by an international consortium of 73 broadcasters. In the broadcast, Paik was seen creating artworks and singing Longing for Mt. Geumgangsan, a Korean folk song, His clumsy singing further illustrated his earnest wish for the reunification of Korea. In this artwork, he embodies the Koreans’ determination for global peace, coexistence, and unification as well as his artistic aspiration for peace and art.

 


<무늬만 커뮤니티>

지역적 탐구를 기반으로 오랜 기간 지역민과 교류하며 예술의 영역을 공유하는 커뮤니티 아트를 실천해 온 무니만커뮤니티는 광주비엔날레, 부산비엔날레, 해인아트프로젝트 등에 참여했다. 이 작품은 신데렐라를 구성하고 있는 다양한 관계와 사물, 판타지와 동화가 주는 희망적 교훈을 개성공단의 역사와 배경, 과거와 현재, 미래를 상 징적으로 연결하는 설치 작업이다. 신데렐라의 벗겨진 채 남겨진 유리구두처럼, 개성공단에 입주했던 기업인들이 어쩔 수 없이 남겨 놓은 채 떠나와야 했던 다양한 생산품과 희망, 또 그들의 추억을 상징적으로 연결하는 작업이기도 하다. Seems Like Community practices community art that is generated in a local community setting by interacting with local people for a considerable period of time and sharing the realm of art with them. The art group has participated in Gwangju Biennale, Busan Biennale, Haein Art Project, and others. This work is an installation art that symbolically links the various relationships, objects, fantasy, and hopeful lessons in Cinderellas story, set in the history and background of the joint North-South Kaesong Industrial Complex (KIC), which was once the symbol of potential inter-Korean harmony, to represent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The installation art also connects, in symbolic ways, the various products left behind as well as the memories and hopes of entrepreneurs who were forced to leave the KIC, with Cinderella having lost one of her glass slippers inside the palace.

 

 


<송창>

송창 미술가

송창은 40년 가까이 이르는 세월 동안 분단과 관련한 주제에 일관되게 천착해 온 작가이다. 그는 반추상적인 형상과 거침없는 필적으로 분단의 역사가 남긴 풍경을 처연한 심상으로 담아냈다. 그의 회화는 분단이 내재화 된 풍경으로서의 분단을 동시에 드러내고 있다. 그는 풍경의 사실(史實)분단이라는 실재를 그려온 화가이다. 회화로 써 내려간 역사화로서의 내셔널 지오그래픽일 수 있고, 분단 풍경의 보고서를 망각의 주체들에게 제출해 온 예술가일 수도 있다. 35년을 그려 온 분단풍경의 진면목이 그의 회화에 있다. A consistent painter, Song Chang has devoted himself for almost 40 years to the themes related to the division of Korea. His semi-abstract style of painting, featuring heavy and expressive brushstrokes, captures the scenery and vestiges left by the history of the division. His works in dark tones and colors represent the landscapes internalized in the scarred, divided Korean Peninsula. His landscapes, to be viewed at one time from one place, turn that division into a reality. In this sense, Song is a landscape painter who can depict such scenery as part of the Korean National Geographic or a historical artist who can show historical landscapes to the people of forgetfulness over time. The stark truth of national division can be found in his works in his 35 years of landscape painting.

 

 


<이영섭>

발굴 조각가 이영섭

 

이영섭은 발굴 조각이라는 독자적인 조각 기법을 다져온 작가이다. 발굴 조각은 땅 안에 콘크리트 시멘트를 부어 묻어두었다가 출토하는 과정을 통해 완성된다. 생텍쥐페리의 어린왕자는 이영섭에게로 와 순수한 아이가 되고 미륵이 되었다. 임진각 평화누리에 6미터의 키로 서는 <어린왕자>는 남과 북을 평화로 잇는 매개자이다. 분열과 대립의 장소에서 어린왕자는 우리 민족이 나아가야 할 미래 한반도의 꿈을 보여줄 것이다. DMZ는 후고구려를 열망했던 궁예의 상징공간이기도 하다.



그는 2006년 국립현대미술관 올해의 작가상과 2009년 한국미술평론가협회상 창작부문 대상 등을 수상한 바 있으며, 한불 수교 130주년을 기념하여 한국 대표 작가로서 프랑스 파리 왕궁 정원(Domaine National du Palais-Royal)과 생-클루 국립 공원(Domaine National de Saint-Cloud)에서 전시하였다. 그의 나무인간 형상은 한 인간이 아니라 근대적 주체들의 모뉴망’(monument)일지 모른다. 그리고 그 주체의 형상들이 20세기를 횡단하고 21세기로 넘어와 지금 여기의 광장(평화누리)’에 서 있는 것이고. 바로 그곳에서 이 모뉴망들은 남과 북을 잇는 하나의 상징이 될 것이다.
Lee Yeoung-Sup has been praised for his trademark “excavation technique.” Lee’s process consists of burying cementing materials to allow for natural weathering to form the concrete and later excavating the finished sculpture. Inspired by Saint-Exupery’s The Little Prince, he sculpted a pure child and a stone statue of Buddha. Standing six meters tall in Imjingak Pyeonghwa-Nuri Park, The Little Prince looks like an in-between to reconcile the North and the South in peace. The Prince envisions the future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e midst of division and confrontation. The demilitarized zone (DMZ) is also a symbolic space for Gung-ye, the king of the Hugoguryeo, who aspired to reunite the ancient kingdoms.


Lee was awarded Korea Artist Prize 2006 by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and received the 2009 Grand Prize in the category of Art Creation from the Korean Association of Art Critics. He was also invited to exhibit at Domaine National du Palais-Royal and Domaine National de Saint-Cloud as a representative Korean artist to celebrate the 130th anniversary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France. His figurative wood sculpture is not just a human figure out of wood but also an individual monument out of modernity and identity. Those particular entities pass through the 20th century and into the 21st century, standing in the Square (Pyeonghwa-Nuri). Right there, each monument will be a symbol that will connect the North and the South.
 

 

 


<최문수>

깃발설치미술, 최문수

 

최문수 작가는 20여 년 넘게 깃발설치 작품을 해 온 몇 안 되는 국내 최고의 깃발설치 작가이다. 평화누리는 바람의 언덕으로 불릴 만큼 바람이 거세다. 그 언덕에 설치할 작품은 다시, 평화를 주제로 한 조각보 작품이다. 우리 민족의 전통 조각보는 자투리 천을 이용하기도 하고, 여러 색의 천을 조합하기도 하는데, 그 상징은 조각조각을 이어서 하나로 잇는것이라는데 있다. 남과 북을 평화로 잇고, 흩어진 이산을 잇고, 갈등과 대립을 화해로 잇듯이 이번 작품은 여럿을 하나로, 하나를 여럿으로 보여주는 깃발작품이 될 것이다. Choi Moon-Soo is one of the few outstanding flag installation artists in Korea for over 20 years. The Pyeonghwa-Nuri Park is windy enough to be called “The Hill of Wind.” The artwork to be installed on the hill is a large-scale patchwork art installation. Traditional Korean patchwork involves sewing together pieces of fabric into a larger design featuring different shapes and colors. It’s worthy to note that the artwork is a symbol of uniting different elements to form a coherent whole. The piecework installation is meant to be a flag to connect the North and the South in peace, bring together separated families, and end conflict and confrontationjust like a new patchwork that is pieced together from small pieces.

 

[경기도미술관] 'DMZ 아트 프로젝트' 전시 한영 번역 2

에서 다른 작품과 번역도 소개하겠습니다.

 

DMZ 아트 프로젝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아래를 클릭해주십시오.

https://letsdmz.ggcf.kr/ehbt/contents/view?contentsNo=4&menuLevel=1&menuNo=24

 

DMZ 아트프로젝트

 

letsdmz.ggcf.kr

감사합니다.

 

-TranSquare(통번역광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