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1987> 보신 분들 많으시죠?
민주화의 열기로 뜨거웠던 1980년대,
당시 미술운동에서도 역사적 사회적 분위기를 반영하는 작품이 많았는데요.
경기도 미술관에서 당시 시대상을 보여주는 기획 전시가 진행 중입니다.
전시명: 경기아트프로젝트 《시점時點·시점視點 – 1980년대 소집단 미술운동 아카이브》 기간: 2019. 10. 29부터 2020. 02. 02까지 장소: 경기도 미술관 기획전시실 관람료: 무료 |
아래에 미술관 홈페이지의 전시회 소개 글입니다.
https://gmoma.ggcf.kr/archives/exhibit/artproject-1980art-movement
경기아트프로젝트《시점時點·시점視點 – 1980년대 소집단 미술운동 아카이브》 | 경기도미술관
경기아트프로젝트《시점時點·시점視點 – 1980년대 소집단 미술운동 아카이브》 | 경기도미술관
gmoma.ggcf.kr
전시회 제목과 전시 소개에 대한 한영 번역을 트랜스퀘어에서 맡아 진행했습니다.
여기선 전시 제목에 대한 한영 번역 얘기를 짧게 풀어내고자 합니다.
이 글을 통해 전시회 제목 번역의 중요성, 시행착오, 번역하는 과정을 소개합니다.
전시 제목은 《시점時點·시점視點》입니다.
시점時點·시점視點은
동음이의어(同音異義語)입니다.
소리는 같으나 뜻이 다른 단어입니다.
시점(時點): 시간의 흐름 가운데 어느 한순간
시점(視點): 대상을 볼 때 시력의 중심이 가 닿는 점
소설에서 이야기를 서술해 나가는 방식이나 관점
미술에서 화가의 시선과 화면이 만나는 점
전시회 제목으로 미루어 볼 때, 한국 근현대사의 어느 시점(時點)인 1980대를 어떤 시점(관점)으로 꽤뚫어 본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1983년에 결성된 미술 소집단 이름이 '시점시점'인데 여기서 전시회 이름을 차용했다고 하네요.
전시회를 열게 되면 물론 전시 내용도 좋아야 하지만, 우선 전시 제목을 어떻게 정하느냐가 중요하겠지요. 사람들의 관심, 공감, 궁금증 등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제목이어야 할 것입니다.
그에 대한 영어 번역도 정확한 의미 전달과 전시회 효과에 부합하는 단어 선택과 번역이 중요할 것 입니다. 아래에 원문과 번역 그리고 고객에게 받은 피드백과 최종적으로 확정된 전시회 영문 제목을 순서대로 나열했습니다. 보시죠!!
원문 (전시회 제목)은 아래와 같습니다.
《시점時點·시점視點 – 1980년대 소집단 미술운동 아카이브》 |
1차 번역 납품에서 '시점 시점'이란 단어의 의미 위주로만 번역했습니다.
《Time & Perspective – Small Art Group Archives in the 1980s》 |
시점(時點) => Time으로, 시점(視點) => Perspective로 번역했습니다. 고객 측에서 번역이 너무 평이하다고 판단하셨나 봐요. 수정을 요청했습니다. '시점 시점'에 대한 로마자표기법을 문의하셨고, 아울러 '시대를 꿰뚫어 본다'는 뜻이 강조되기를 원했습니다.
2차 수정 번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Time & Perspective – Insight into the 1980s through Small Art Group Archives” |
vs.
"Sijeom, Sijeom - Insight into the 1980s through Art Group Archives" |
'시대를 꿰뚫어본다'는 의미를 살리기 위해 'insight into'로 번역했고
'시점시점'에 대한 로마자표기법도 같이 보냈습니다.
하지만,
영어 제목에서 시점(時點)시점(視點)에 대한 동음이의어적인 측면이 전달되지 않아 납품하고도 찜찜하고 아쉬웠습니다.
뭔가 열심히는 했는데, "이건 아닌데, 뭐 없나??"라는 느낌 있잖아요.
동음이의 '시점'과 '시점'이 같이 붙어있어 각 단어의 뜻을 강조하는 효과가 있고
상대방에게 관객에게 단어의 뜻에 대한 호기심과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영어 번역에서 의미 중심적인 번 "Time & Perspective"
표기 중심적인 번역 "Sijeom, Sijeom"으로는 원문의 뜻과 표기를 모두 살리기에 한계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좀더 좀더 검색을 했습니다.
영영 사전과 유의어 사전을 뒤져보았습니다.
여러 단어의 조합을 고민하던 중 'Locus'와 'Focus'라는 단어를 붙여 보았습니다.
locus: 장소, 발생지, 중심지 (the place where something is situated or occurs: site, location)
라는 뜻이고
focus: 초점, 집중, 중심 (a center of activity, directed attention, etc.)
이란 뜻이죠.
3차 수정 번역입니다.
Locus and Focus: into the 1980s through Art Group Archives |
장소와 시간은 공존하니 locus가 시점(時點)의 의미를
해당 장소와 시간에 대한 초점과 관점의 의미를 focus로 해서 시점(視點)의 의미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아울러 두 단어가 동음이의어는 아니지만, 철자 하나 차이어서 언어 유희적인 측면, 즉 wordplay도 표현할 수 있겠다 싶었습니다.
다행히도 미술관측에서 수락했고, 해당 전시의 영어 제목이 되었습니다.
전시회 제목을 한영 번역하면서, 제목 번역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느낍니다.
좀 더 번역을 잘하기 위해 영문 도록과 관련 사이트 방문하고 기록하며 공부 중입니다.
조만간 저도 트랜스퀘어가 참여한 이번 전시회에 방문하려고 합니다.
기대되고 기쁩니다. ^^
감사합니다.
- 트랜스퀘어(통번역광장) -
'고객 > 실적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도미술관] 'DMZ Art Project' 전시 한영 번역 1 (0) | 2021.05.12 |
---|---|
[남한산성 UNESCO 모니터링 보고서 한영 번역] (0) | 2021.04.12 |
[경기도 미술관] 특별전 도록 한영 번역 (1) | 2019.03.19 |
[독립영화사 우리] 미쟝센 단편 영화 출품작 영상 번역 (0) | 2018.10.31 |
[경기도 미술관] 전시회 소개글 한영 번역 (1) | 2018.10.24 |